교육부, 학교 교육비 납부 간편하고 빠르게 모바일 앱으로

K-에듀파인 스마트스쿨뱅킹

노명숙 | 기사입력 2022/08/12 [10:18]

교육부, 학교 교육비 납부 간편하고 빠르게 모바일 앱으로

K-에듀파인 스마트스쿨뱅킹

노명숙 | 입력 : 2022/08/12 [10:18]

[시사매거진넷=노명숙] 기존 수기 작업으로 이뤄지던 행정 업무의 디지털·전자화는 자료의 신뢰성·투명성은 물론, 업무의 효율성과 사용자의 편의까지 높인다.

 

‘K-에듀파인 스마트스쿨뱅킹’(이하 스마트스쿨뱅킹)은 기존 종이고지서로 발송하던 수기 작업 대신 이뤄지는 K-에듀파인 전자납부서비스로, 행정업무의 디지털·전자화가 가져다주는 모든 장점을 갖고 있다.

 

스마트스쿨뱅킹은 방과후학교 수강료, 체험 학습비, 졸업 앨범비 등 학교에서 학부모 부담 교육비 등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인 ‘올원뱅크’를 통해 자동 고지한다. 학부모는 앱을 통해 고지 내용을 확인하고 은행 방문 없이 앱을 통해 간편하게 납부 처리할 수 있다.

 

▲ K-에듀파인 스마트스쿨뱅킹 학부모 사용방법.  ©



‘올원뱅크’ 앱에서는 교육비 납부에 대한 고지 기능이 추가돼 있어 언제든지 고지 내용과 납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오픈뱅킹 적용으로 농협계좌뿐만 아니라 학부모가 원하는 계좌로 납부가 가능하도록 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였다.

 

교육부는 학부모가 교육비를 원하는 방식으로 납부할 수 있는 편의를 높이기 위해 지난 2010년부터 K-에듀파인에 대량자금이체서비스(CMS), 스쿨뱅킹, 전자자금이체(EFT), 신용카드 방식을 순차적으로 도입했다.

 

K-에듀파인은 시·도교육청과 유·초·중등학교 70여 만명 교직원의 행정업무와 재정업무를 전자적으로 처리 및 지원하는 차세대 지방교육행·재정통합시스템을 일컫는다.

 

교육부는 스마트스쿨뱅킹 서비스도 도입하기 위해 2019년 한국교육학술정보원·NH농협은행과 ‘K-에듀파인 전자금융서비스에 관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를 통해 2020년 서비스 개발 및 시범 운영을 거쳐 2021년 28개 학교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올해 3월부터는 초·중·고 모든 학교에 스마트스쿨뱅킹 서비스가 도입됐다.

 

단위 학교는 스마트스쿨뱅킹 서비스 사용 여부를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존 스쿨뱅킹, 대량자금이체서비스, 전자자금이체, 신용카드 등의 전자납부서비스와 스마트스쿨뱅킹 중에서 학부모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을 활용하면 된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가장 많이 본 기사  
오은미 전북도의원, 청년농업인 정책 토론회 개최 / 노광배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제417회 임시회 개회 / 노광배
무안군, 2024년 지방세 이월체납액 줄이기 평가 우수상 시상 / 이계춘
무안군 드림스타트, ‘슈퍼비전’ 통해 아동사례관리 전문성 높여 / 이계춘
진안군, 세계 물의 날 기념 합동 하천 정화활동 추진 / 노광배
나주소방서·의용소방대, 봄철 산불 예방 캠페인 전개 / 노명숙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2동, 민생 약속의 희망나무 심기 / 노광배
광산구 고려인 역사 기록물, 국가적 활용 ‘첫발’ / 노광배
광주광역시, 지방정원 1호 호수생태원서 식목일 나무심기 / 노광배
전북교육청-전북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협약 / 노명숙
교육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