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부산항·광양항 유휴항만, 해양신산업 중심지 '전환'

해수부, ‘제2차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 수립

노광배 | 기사입력 2022/05/05 [09:27]

해양수산부, 부산항·광양항 유휴항만, 해양신산업 중심지 '전환'

해수부, ‘제2차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 수립

노광배 | 입력 : 2022/05/05 [09:27]

[시사매거진넷=노광배] 부산항과 광양항의 일부 유휴 항만이 해양신산업 중심지로 탈바꿈한다.

 

해양수산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2차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2022∼2026년)을 수립했다고 4일 밝혔다.

 

해수부는 지난 2016년 해양산업클러스터법을 제정한 이래 부산항과 광양항에 있는 일부 유휴 항만을 해양산업클러스터로 지정했다. 해양신산업과 관련된 기관과 기업을 모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현재 부산항은 2030 세계박람회 유치 시 행사부지로 활용하기 위해 해당 유휴 항만의 사용을 유보하고 있다.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는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기관과 기업 유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해수부는 ‘제2차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을 통해 해양산업클러스터가 해양산업 육성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활성화 기반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먼저, 클러스터 지정요건을 완화하고 해양산업클러스터 지원센터를 지정한다. 임대료 감면, 창업지원프로그램 연계 등 실질적인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이미 지정된 해양산업클러스터에 대해서는 지역 맞춤형 육성전략을 추진한다.

 

▲ 부산항 지정가능구역(왼쪽), 광양항 지정가능구역.   ©



부산항의 경우 2030 세계박람회 행사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지식산업센터, 마리나 비즈센터, 수소연료 선박 플랫폼센터 등 이미 유치한 3개 시설을 우선 조성한다.

 

광양항은 새로 개발된 해양수산기술을 시험할 수 있는 실증단지로 육성한다. 해운과 항만물류 기술개발(R&D) 중심지로 도약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민석 해수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제2차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해 해양산업클러스터가 해양신산업 성장의 중심지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가장 많이 본 기사  
오은미 전북도의원, 청년농업인 정책 토론회 개최 / 노광배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제417회 임시회 개회 / 노광배
무안군, 2024년 지방세 이월체납액 줄이기 평가 우수상 시상 / 이계춘
무안군 드림스타트, ‘슈퍼비전’ 통해 아동사례관리 전문성 높여 / 이계춘
진안군, 세계 물의 날 기념 합동 하천 정화활동 추진 / 노광배
나주소방서·의용소방대, 봄철 산불 예방 캠페인 전개 / 노명숙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2동, 민생 약속의 희망나무 심기 / 노광배
광산구 고려인 역사 기록물, 국가적 활용 ‘첫발’ / 노광배
광주광역시, 지방정원 1호 호수생태원서 식목일 나무심기 / 노광배
전북교육청-전북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협약 / 노명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