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AFC 현장실사단 한국 찾아 아시안컵 준비상황 현장 실사

문체부, 특별전담팀 구성…범정부 차원 유치 활동

이계춘 | 기사입력 2022/09/09 [07:12]

문화체육관광부, AFC 현장실사단 한국 찾아 아시안컵 준비상황 현장 실사

문체부, 특별전담팀 구성…범정부 차원 유치 활동

이계춘 | 입력 : 2022/09/09 [07:12]

[시사매거진넷=이계춘]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축구협회는 8일 ‘2023년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이하 2023 아시안컵)’ 개최국을 선정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아시아축구연맹 현장 실사단이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현장 실사를 마쳤다고 밝혔다.

 

지난 4일 입국한 아시아축구연맹 실사단 7명은 인천을 먼저 방문했다. 방한 첫날 유치 준비사항 발표를 듣고 호텔을 실사했으며, 5일에는 인천문학경기장과 훈련장 등을 점검했다.

 

6일에는 화성과 수원으로 이동해 화성종합경기장과 수원월드컵경기장 현장을 점검했으며, 7일 마지막 점검 일정을 끝으로 현장 실사를 완료했다.

 

실사단은 경기장과 훈련장, 호텔 등 대회를 치르기 위한 시설들을 꼼꼼히 점검했다.

 

▲ 2023 AFC 아시안컵 유치 실사단이 지난 6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경기장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



대한축구협회는 일부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실사단에 개·보수계획을 충분히 설명하고 ‘2023 아시안컵’을 단순 축구대회가 아닌 축구 축제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축구 자체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해 아시안컵 흥행에도 큰 도움을 주고 축구 축제의 새로운 지평을 확장하는 계기를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호주의 유치 의사 철회로 현재 대한민국을 포함해 카타르와 인도네시아 등 3개국이 ‘2023 아시안컵’ 유치 경쟁 중이다.

 

이번 실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평가보고서와 오는 15일까지 제출하는 후보국의 유치계획서를 바탕으로 아시아축구연맹 집행위원회에서 다음 달 17일 ‘2023 아시안컵’의 개최국을 최종 선정한다.

 

한편 대회를 성공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조용만 문체부 제2차관을 팀장으로 대한축구협회와 유관 부처, 외교와 소통 분야의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2023 아시안컵 유치 전략 특별전담팀(TF)’을 구성했다.

 

이날 첫 회의를 하는 특별전담팀은 앞으로 유치 동향을 수시로 점검하며 시기별·지역별로 차별화된 유치 전략을 수립하고 범정부 차원의 유치 활동을 펼쳐 나갈 방침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가장 많이 본 기사  
함평군, 함평파크골프장 운영 문제점 개선 ‘시동’(2) / 노광배
전주시 사회복지관 6개소 사회적고립가구 발굴 및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 노광배
곡성군, ‘부산 유기농·친환경 귀농귀촌 박람회’ 참가 / 노명숙
정길수 전남도의원, ‘해양 방사능 감시시스템’ 확대 설치요청 / 노명숙
전남교육청, 다문화학생 직업체험 프로그램 운영 / 노명숙
전북교육청학생수련원 수능 끝낸 고3 위한 힐링캠프 실시 / 노광배
임실군, 31개 마을에 무선방송시스템 설치 완료 / 노광배
장수한우지방공사, 서울평화문화대상서 축산업발전대상 수상 / 노광배
완주군, 다문화가정 시어머니 관계 향상 교육 / 노광배
정기명 여수시장, 전남여수산학융합원 초청 특강 / 이계춘
스포츠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