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사업목적 뒷전‘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사업(3)

석연치 않는 종합건설본부의 ‘물순화 사업’은 ‘돈순환 사업?’

노광배 | 기사입력 2022/07/14 [17:17]

광주광역시, ‘사업목적 뒷전‘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사업(3)

석연치 않는 종합건설본부의 ‘물순화 사업’은 ‘돈순환 사업?’

노광배 | 입력 : 2022/07/14 [17:17]

[시사매거진넷=노광배] 광주광역시 종합건설본부가 추진하는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사업’이 사업 목적은 뒤로한 ‘돈순환 사업’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설계단계부터 모순 투성이의 사업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종합건설본부는 당초 물순환을 위한 사업 목적과 동떨어진 경제성 검토라는 명분없는 엉뚱한 이유를 들어 투수계수가 높은 1, 2등급의 투수블럭을 제치고 KS인증제품이라는 이유로 3등급의 투수블럭으로 설계를 변경했다.

 

▲ 관급자재 구매내역  © 노광배 기자


경제성 운운하던 종합건설본부는 1등급이던 투수블럭을 3등급 투수블럭으로 설계 변경해 3억7천2백만원의 예산 절감을 앞세웠으나 현실은 3등급 투수블럭을 1등급 투수블럭 보다 더 비싼 금액에 구매한 내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그 허구가 드러난다.

 

제보자 A씨는 “경제성 검토라는 이유로 등급을 낮춰서 설계변경을 한 것은 사업목적을 이해 못하는 사람만이 내릴 수 있는 결정이다”며 “이를 허용한 감리도 환경부도 이해 할 수 없다”고 일침했다.

 

▲ 투수블럭 시공지역 사진  © 노광배 기자


또한 설계변경 시점도 이해할 수 없는 대목이다.

 

설계변경이란 시공업체가 시공과정에서 효율성 등의 검토가 요구될 시 검토의견을 제시하고 이를 발주자와 감리가 협의해 타당성 검토를 거쳐 설계변경이 이뤄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합건설본부는 어떤 이유에서 인지 시공도 전에 설계를 변경해 큰 의혹에 휘말렸다.

 

▲ 불투수블럭 시공지역 사진  © 노광배 기자


또한 여러 환경단체와 물순환 단체, 투수블럭 생산업체 등의 민원에도 굴하지 않고 사업을 전개하는 끈기까지 부리고 있다.

 

관련업무에 종사한 경력을 가진 시민 B씨는 “이 사업은 사업목적은 뒷전이고 예산을 낭비하며 투수율 낮은 투수블럭 생산업체의 재고를 처리해 주거나 사업하는 흉내를 내는 광대 연기에 불과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당초 2020년 295억원의 환경부 예산과 광주광역시 예산으로 시작한 사업은 여러 의혹 속에도 안하무인의 정신으로 줄기차게 진행되고 있어 ‘돈순환’을 목적으로 진행되는 사업이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가장 많이 본 기사  
무안군 제71주년 재향군인의 날 기념식 개최 / 이계춘
전남도, 농식품바우처 시범사업 전국 최다 / 노명숙
신안군, ‘2023 사랑의 김장 나누기’ 행사 개최 / 이계춘
남원시노인복지관‘제 10회 청춘제’ 성황리 개최 / 노광배
진안군 공공하수도 운영․관리 2년 연속 우수상 수상 / 노광배
목포시립도서관, 12월‘도서관에서 해피 크리스마스’행사 운영 / 노명숙
김제 지평선학당, 내년도 상반기 방과후 프로그램 수강생 선발 / 노광배
임실군, 왕의숲 성수산 국민여가캠핑장 인기몰이 / 노광배
전남도, 항공 우주산업 등 투자 유치 순풍 / 노명숙
무안군 고향생각주부모임, 겨울맞이 환경정화활동 실시 / 이계춘